본문영역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하단링크 바로가기

국토종주 자전거길 정보

자전거 행복나눔과 함께하는 행복 안전 라이딩

문화와 생태의 비단물길을 따라 달린다!

대청댐에서 시작하여 1,500년 전 백제의 고도로 시간여행을 떠나는 금강자전거길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주와 부여를 지난 금강하구둑이 만들어 놓은 금강호와 가창오리들이 만들어낸 경이로운 날개짓을 보며 대장정의 막을 내린다.

역사와 문화! 그리고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순례와 탐방의 길
역사 속에서 문화로 되살아난 백제의 숨결을 따라, 시인의 노래와 작가의 이야기가 이어지며 살아 숨쉬는 자연의 조화로움이 이방인과의 경계를 허물어 버리듯 한폭의 그림으로 펼쳐진다.

금강 자전거길 안내 이미지1
금강 자전거길 안내 이미지2
금강 자전거길 안내 이미지3
금강 자전거길 안내 이미지4
금강 자전거길 안내 이미지5
금강 자전거길 안내 이미지6

자전거길 정보 내용 시작

01 POINT : 대청댐(stamp (→ 금강자전거길) → (약37km) → 세종보(stamp) → (약19km) → 공주보(stamp) → (약24km). 02 POINT : 백제보(stamp) → (약39km). 03 POINT : 익산 성당포구(stamp) → (약27km) → 금강하구둑(stamp)
  • 코스정보
    대청댐 – 세종보 – 공주보 – 백제보 – 익산 성당포구 – 금강 하구둑
  • 전체거리
    146km
  • 예상시간
    9시간 40분
  • 난이도
    난이도2

교통편안내 내용 시작

대청댐 방면(시작점) 내용 시작

신탄진역

신탄진역 지도
찾아가시는길
  • 거리
    약 887m
  • 소요예상시간
    5분
  • 경로
    1. 신탄진역 출발
    2. 석봉로를 따라 신탄진네거리 진입
    3. '청주'방면으롸 좌회전
    4. 신탄진로를 따라 300여m 이동
    5. 좌측방향의 대덕대로 1527번길을 따라 250여m 이동
    6. 계단을 이용하여 자전거도로 진입

금강하두국 방면(종점) 내용 시작

군산 시외버스터미널

군산 시외버스터미널 지도
찾아가시는길
  • 거리
    약 2.75km
  • 소요예상시간
    11분
  • 경로
    1. 군산시외버스터미널 출발
    2. 대명길을 따라 123여m 이동 후 좌회전
    3. 해망롸를 따라 360여m 이동
    4. 경암사거리에서 '군산IC, 군산역'방면으로 우회전
    5. 구암3.1로를 따라 1.23km이동
    6. 연안사거리에서 '서천, 금강하구둑 방면으로 좌회전'
    7. 조촌로를 따라 1.03km 이동

군산역

군산역 지도
찾아가시는길
  • 거리
    약 2.7km
  • 소요예상시간
    11분
  • 경로
    1. 군산역 출발
    2. 내홍2길을 따라 강변로로 이동
    3. 강변로를 따라 약 2.0km 이동
    4. 자전거도로 진입
무덤 속에서 되살아난 백제의 문화…

공산성 주차자에서 출발한 자전거길은 도심을 산책하듯 달려 무령왕릉이 자리한 송산리 고분군에 도착한다. 발굴 당시 전 서계 고고학계를 흥분하게 했던 무령왕릉은 왕이 살던 공산성에서 걸어서 10분거리다. 1971년 송산리 고분군의 6호분 배수시설 공사 중에 도굴된 훈적이 없는 처녀분에서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라는 지석이 발견되면서 백제의 화려한 문화가 시공을 뛰어 넘어 세상에 그 화려한 모습을 드러냈다.

'큰 나라가 있는 강’, 백마강…

부소산 정상에서 해가 솟는 순간은 부여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황홀경이다. 껍질을 개고 새로운 생명체가 태어나듯 불쑥 솟은 해가 백마강을 황금색으로 채색한다. 마치 성왕이 백제로 도읍을 옮기던 그날의 영광을 재현하기라도 하듯 구드래나루에서 출항한 황포돛배의 돛도 황금색으로 물든다. 백제가 역사에서 사라지던 그날처럼 부소산을 뒤덮은 구름이 화염처럼 붉게 물들고 물안개가 연기처럼 피어 올라 삼천 궁녀의 전설이 서림 낙화암과 백제의 흥망성쇠를 지켜본 고란사를 감싼다.

수만 마리 가창오리의 황홀한 군무…

작은 점이 모이고 흩어지고 다시 모이면서 만들어내는 군무는 세상에서 가장 경이로운 공연. 먹구름처럼 하늘을 빈틈없이 까맣게 수놓았던 가창오리 군단이 금강 둑을 넘어 서천과 군산의 논으로 사라진 순간 금강둑의 갈꽃과 억새꽃이 비로소 가창오리의 군무가 연출하는 감동에 몸을 부르르 떤다.

체험후기

  • ★ 이정표 등의 ‘우회자전거길’ 용어는 진짜 우회길에만 사용

    국토종주 4회(왕복 2회)와 남해안종주과 서해안종주 그리고 전국의 시군의 모든 자전거길을 다녀보고 ‘구석구석자덕’이 느낀 의견을 제시해 봅니다. <금강-부여군 규암면> ‘우회자전거길’이란 보통 침수시 피해서 가는 자전거길, 아주 험한 구간을 피하여 가는 자전거길, 공사 구간 피해서 가는 자전거길 등에 사용하는 용어로 알고 있는데... 한예로 금강자전거길에서 원래 가는 주코스인데 백마강레져파크 근처에 ‘금강우회자전거길’이란 안내표지판이 있어서 다른 길이 있는지 헷갈립니다.(다른 국토종주 자전길에도 여러 곳 볼 수 있음) ➞ ‘00우회자전거길’ 용어는 정말 우회하는 데만 사용했으면 합니다. 원래 가야 하는 자전거길 주코스에는 사용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2025-02-01 05:25:32
  • 백제보문화관 감사합니다.

    금강자전거길 종주 인증을 위해서 1.20.(월) 광주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가는 길에 공주보 인증센터를 깜빡하고 지나쳐서 돌아오는 길에 인증을 마치고 종주 인증을 받기 위해 1.22(수)에 백재보문화관에 도착해 보니 점심시간 이었습니다. 종주인증을 받고 김제까지는 가야 다음날 내장산을 넘어서 광주까지 가는데 무리가 없을 것 같았습니다. 점심 시간 지나서 종주인증을 받으면 아무래도 김제에는 저녁 늦게 도착할 것 같았습니다. 야간 라이딩은 아무래도 위험해서 어떻게든 빨리 종주인증을 받고 출발해야 될 것 같아서 발을 동동 굴리고 있었는데 다행히 근무하시는 여직원 분께서 점심시간 임에도 불구하구 너무 친절하게 종주인증을 해주셨습니다. 백제보에서 1시간 지체했으면 정말 야간 라이딩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는데 다행히 빨리 해주셔서 김제에 해지기 전에 무사히 잘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성함도 못 물어봤는데 그 때 점심시간임에도 친절하게 처리해 주신 여직원 분께 이렇게나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3박 4일 일정으로 갔다 왔는데 잘못하면 4박 5일 일정이 될 뻔 했습니다. 안전하게 귀가하게 해주신 일등공신 이십니다. 다시 한 번 감사드리고 친철함을 칭찬해 드리고 싶습니다.  

    2025-01-24 14:40:10
  • 익산 성당포구 인증센터 Q.R

    금강종주를 하다보니 11월 20일인데도 익산 성당포구 인증센터 벽면에 Q.R 인증이  없습니다.  인증도 못했어요 아래에도 부착요청 글이있던데   재 부착 요청 드립니다.

    2024-12-01 11:43:33
체험후기 더보기